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자료구조
- python 가상환경 설정
- 가상환경 설정하기
- 자료구조 해시
- Codeup
- 코드업 기초100제 파이썬 답
- 코드업 파이썬 100제
- react
- react state
- 코드업 기초100
- 코드업 기초100제 파이썬
- 코드업 파이썬 기초
- 해시테이블
- 자료구조 해시테이블
- python 가상환경
- codeup 알고리즘
- 링크드리스트
- 코드업 파이썬
- 코드업
- 코드업 기초100제
- 자료구조 링크드리스트
- codeup python
- Linked List
- 가상환경 패키지
- codeup 파이썬
- Python
- Vue.js
- codeup python 기초100제
- hash table
- 파이썬 가상환경
- Today
- Total
zuchive
Python 가상환경 설정하기 본문
# 가상 환경은 왜 사용해야 할까?
가상 환경을 사용하게 되면 별개의 가상환경(프로젝트 A, B, C)을 통해서
여러 프로젝트를 할 때 다른 모듈을 사용하더라도 매우 깔끔하게 환경을 구성할 수 있고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.
# 가상환경 생성하기 (Windows)
폴더가 기존에 존재하면 그 폴더에 가상환경을 생성하시면 됩니다.
폴더가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 만들어줍니다.
(저는 기존에 만들어둔 python_basic 폴더를 사용했습니다.)
python -m venv python_basic
위 명령어를 입력해주면
아래 사진과 같이 python_basic 폴더에 include, lib, script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dir 명령어를 입력해서 디렉터리 확인해보기
Windows 기준으로는 'Script' 폴더 생성, macOS 기준으로는 'bin' 폴더가 생성됩니다.
# 가상환경 실행 -> (윈도우 : Script, 맥: Bin) 폴더
script 폴더로 이동한 후
activate.bat 이라는 파일을 실행시켜주면
activate.bat
만들어진 가상 환경을 확인할 수 있고
(python_basic) 을 통해 가상 환경이 잘 설정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# 가상환경 해제
가상 환경에서 나오고 싶을 때는
deactivate.bat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가상환경에서 나올 수 있게 됩니다.
deactivate.bat
오픈소스나 잘 만들어진 외부 패키지들을 가상환경에서 설치한 후 개발을 진행하면 됩니다.
# 개발이 끝나거나 어딘가 꼬이게 됐을 경우
아래에 있는 include, lib, script 파일을 지운 후 다시 가상 환경을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.
또는 소스코드를 백업한 상태에서 기존에 가상환경을 설치한 폴더(python_basic)를 삭제하면
윈도우와 연관 없이 각 환경별로(폴더 기준으로) 개발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
'Language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데이터 타입 - 숫자형 및 연산자 (0) | 2022.04.23 |
---|---|
Python 가상환경 설정 및 패키지 설치 (0) | 2022.04.23 |
Print 함수의 이해 (0) | 2022.04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