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코드업 기초100제 파이썬
- 코드업 기초100
- python 가상환경 설정
- 자료구조
- 링크드리스트
- 코드업 파이썬 기초
- react
- Vue.js
- Linked List
- react state
- 코드업 기초100제
- 자료구조 해시
- 코드업 파이썬
- codeup 파이썬
- 코드업
- 가상환경 설정하기
- codeup python 기초100제
- 해시테이블
- 자료구조 해시테이블
- Codeup
- hash table
- 파이썬 가상환경
- codeup python
- 코드업 기초100제 파이썬 답
- 코드업 파이썬 100제
- codeup 알고리즘
- 가상환경 패키지
- Python
- python 가상환경
- 자료구조 링크드리스트
- Today
- Total
zuchive
Print 함수의 이해 본문
# print 구문의 이해
# 기본 출력
print('Hello Python!')
print("Hello Python!")
print("""Hello Python!""")
print('''Hello Python!''')
print() #줄바꿈 기능
위 코드처럼 print() 함수 안에 어떠한 원하는 출력 값을 넣지 않았을 경우에는 줄 바꿈 기능을 한다.
# Seperator 옵션 사용
print('T', 'E', 'S', 'T')
'T E S T' 문자 사이에 공백을 갖고 출력이 된다.
print('T', 'E', 'S', 'T', sep='') #sep='' 추가
공백 없이 'TEST' 문자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print('2019', '02', '19', sep='-') #sep='-'을 추가
sep='-'을 통해 - 로 문자를 구분(연결)해준다.
print('niceman', 'google.com', sep='@')
입력된 문자 사이에 '@'로 연결돼서 출력된다.
# end 옵션 사용
print('Welcome To', end='')
print('the black parade', end='')
print문은 원래 끝에 줄 바꿈이 되는 건데
print문에 end='' 를 입력하게 되면 끝을 내지 않고(줄 바꿈을 하지 않고) 공백으로 처리하겠다는 뜻이 된다.
끝부분을 바로 다음 문장과 연결을 해준다.
print('Welcome To', end=' ')
print('the black parade', end=' ')
print('piano notes')
end='' 의 ''안에 sep='-' 처럼 입력값을 구분하는 공백, 기호 등을 넣어 문자 사이를 구분할 수 있다.
또한
마지막 문장인
print('piano notes') 에는 end='' 가 없기 때문에
다음에 출력되는 문장은 자연스럽게 줄 바꿈 기능이 된다.
# format 사용 [ ], { }, ( )
print('{} and {}'.format('You', 'Me'))
print('{0} and {1} and {0}'.format('You', 'Me'))
format() 함수는
숫자를 내부적으로 맵핑(서로 할당한다는 뜻)해서 출력할 수 있다.
You는 0을, Me는 1로 맵핑된 번호에 맞게 할당이 가능하다.
print('{a} and {b}'.format(a='You', b='Me'))
.format() 함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
print("%s's favorite number is %d" %('Eunki', 7)) # %s : 문자, %d : 정수, %f : 실수
숫자를 입력할 거라서 정수인 %d로 매핑해줬고, 문자 입력은 %s로 매핑을 해줬다.
.format() 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
%('%s에 들어갈 입력값', %d에 들어갈 입력값 )
이 코드는 문자의 데이터 형태를 알려주기 때문에 위에 있는 print문보다 정확하게 입력값을 출력할 수 있다.
print("Test1: %5d, Price: %4.2f" %(776, 6534.123))
%5d : 5자리 숫자의 정수. 자릿수를 지정해줌
%4.2f : 정수 4자리, 소수 2자리, f는 실수를 의미한다.
print('Test1: {0: 5d}, Price:{1: 4.2f}'.format(776, 6534.123)) #0, 1
print('Test1: {a: 5d}, Price:{b: 4.2f}'.format(776, 6534.123)) #a, b
포매팅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를 더 정확하게 출력할 수 있다.
# Escape 코드 ( 탈출 코드 )
역슬래시( \ ) 다음에 오는 '(따옴표)가 출력된다.
\t : 한번 입력할 때마다 space키를 4번 누르는 것과 같다.
print("'you'")
print('\'you\'')
print('"you"')
print("""'you'""")
print('\\you\\\n')
print('test')
print('\\you\\\n') 은 print() 문으로 줄 바꿈이 한번 되고
이후에 \n으로 한번 더 줄 바꿈을 해준다.
'Language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데이터 타입 - 숫자형 및 연산자 (0) | 2022.04.23 |
---|---|
Python 가상환경 설정 및 패키지 설치 (0) | 2022.04.23 |
Python 가상환경 설정하기 (0) | 2022.04.22 |